본문 바로가기

주식/시장

[경기 순환] 주식시장 하락 시기 : 원자재 투자?? (+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안녕하세오~ 디에이콤입니다~! 😎

 

2022년 새해부터 나스닥, 코스닥 모두 하락을 겪고 있습니다.

 

이제 주식은 좋은 투자처가 아닌걸까요?

그럼 내 돈은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요?

 

주린이를 위한 약간의 당부

사실 인간이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죠.

 

경제의 역사가 생각보다 오래되지 않았고, 변수가 많기 때문에 월스트리트 전문가들의 예측도 빗나갈 확률이 높습니다.

 

그래서!!! 소중한 돈을 잃지 않으려면, 자산을 포트폴리오로 배분해야 합니다.

 

그리고, 경제의 역사를 비추어 'A 이후에는 B가 되는 적이 많더라...' 라는 확률도 무시할 순 없죠.

 

결국 우리는, 높은 확률에 투자비중을 높이고 낮은 확률에도 꼭 조금이나마 비중을 확보해야 할 것입니다.

 

 

 

우리의 소중한 돈을 지키기 위해, 경기 순환이 뭔지, 경제 순환 주기에서 우린 어디에 있는지 추측해보겠습니다.

경기의 순환

 

출처: https://livingeasy.tistory.com/49

경기는 위 그래프처럼 순환하며 움직입니다.

높낮이, 기간은 매번 다르고, 정확히 '2017년 6월부터 2021년 11월까지가 호황기야!' 라고 딱 자를 순 없지만요.

 

호황기가 계속될 수 없는 이유는, 경기가 과열되면 자산 버블과 인플레이션이 너무 심해져서, 펑! 터져 침체기로 들어서거나, 

 

침체기로 빠르게 전환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각국 정부가 긴축 정책을 펴서 과열된 경기를 미리미리 식히려고 노력하기 때문입니다.

 

침체기에는 한번 들어서면 회복기로 올라타기 힘듭니다.

 

한번 제대로 맞고 나면 함부로 까불 수 없는 것과 비슷한 이유로, 위축된 소비/투자 심리를 다시 끌어올리려면 겁먹은 마음을 잠재울 시간도 좀 필요하고, 국가 차원에서 많은 재정지원이 필요합니다.

 

그래도, 결국 바닥을 다지고 언젠간 경기는 회복하게 되어 있습니다.

 

 

경기 순환에 따른 투자 방법

그럼, 지금 우리는 어느 시기를 지나고 있을까요?

 

나라마다 다르겠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주식, 부동산 모두 조정을 겪고 있으니, 호황기 끝쯤일 것 같습니다. (저는 신이 아니므로,, 아닐수도 있어오.)

 

앞서 보여드린 그림에서 초록색 글씨는 그 시기에 투자하면 좋을 자산 입니다.

 

아래 도표와 함께 이유를 알아볼게요.

위 그림은 bonds(채권), stocks(주식), business cycle(경제 순환), commodities(원자재) 자산의 시기별 등락을 나타냅니다.

 

slowdown은 후퇴기, recession은 침체기, recovery는 회복기, expansion은 호황기로 매칭할 수 있겠죠?

 

전체적으로 보면, 채권은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작고, 주식은 변동성이 큽니다.

 

시기별로 보면, 회복기~호황기 간 주식 & 원자재는 오르고, 채권은 하락합니다. 3개의 자산이 고점 / 저점을 찍는 시기가 각기 다릅니다.

 

지금 우리는 호황기의 끝물에 있을 확률이 크다고 생각되니, 앞으로 원자재가 가장 좋은 투자처로 보입니다.

 

또 앞으로 경기가 침체될 것이라는 공포심으로,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큰 안전자산 에도 비중을 배분하면 좋겠네요.

 

과열되었던 경기가 조금씩 식어가는 후퇴기가 당장 오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주식이 잠깐의 조정을 거친 것일 수도 있죠.

 

본인이 생각하기에 앞으로 후퇴기가 올 확률이 70%라고 생각하면, 원자재, 등에 투자금의 70%를 투자하면 되고,

 

지금이 호황기 초반일 확률이 30%라고 생각한다면, 주식, 원자재(또?)에 30% 비중을 싣으면 됩니다.

 

원자재가 가장 좋은 투자처인 것 같네요🤔

 

만약 '난 수익률이 조금 낮아져도, 안정적인 투자가 좋아' 하는 분이라면, 또는 투자금이 커서 좀 더 쪼개고 싶다면,

변동폭이 적은 채권 투자도 넣어볼만 할 것 같습니다.

 

원자재에 투자하는 방법

가장 편하게 투자하는 방법은, 주식을 사는 것과 똑같이 원자재 선물 ETF를 사는 것입니다.

선물이란?
: 원자재를 미래에 살 수 있는 권리
※ 실제 원자재 가격이 횡보할 경우, 원자재를 내가 직접 집에 쟁여놓는 것이 아니므로, '보관' 비용이 발생하여, 하락할 수 있다.

원자재도 원유, 가스, 금, 은, 구리, 코코아, 대두, 옥수수 등등 종류가 엄청나게 많아, 투자를 위해서는 공부가 굉장히 많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하나의 원자재에 투자하기 힘든 우리를 위한 여러 원자재를 묶어 한번에 투자할 수 있는 ETF도 많이 출시되어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원자재 ETF 종류와, 투자 방법, 추천 ETF 종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호황기에는 왜 주식이 오르고, 침체기에는 왜 채권이 오르고...

각 자산이 특정 시기에 왜 오르는지에 대한 내용도 나중에 한번 정리하겠습니다.

 

모두 리스크에 대비하는 현명한 투자자로 거듭나셔서,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댓글을 통한 질문 환영합니다‼️

 


* 본 포스팅은 본인의 생각을 기록한 것입니다.
* 본 글의 저작권은 블로거 본인에게 있으며 본인의 동의없이 함부로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