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증시 전망] 2022 경제 / 주식(코스피 / 나스닥) 전망과 대응전략 (1) 안녕하세오~ 디에이콤입니다~! 😎 불안한 장세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고민이 많으실거에오. 손절을 해야하나? 떨어질 때마다 더 사야하나? 본전까지 오르면 다 팔아야겠다? 그래서!! 올해 경제, 주식(코스피/나스닥) 전망과 대응전략을 준비해보았어오. 그리고 오늘은 조금은 어두운, 시장 전망과 그 이유에 대한 개인적 사견을 나눠볼까 합니다. 글에 제 모든 생각을 녹여내기 힘들기도 하고, 분량문제도 있어서 다소 비약된 부분이 있을 수 있고, 정확한 수치나 그래프는 많이 넣지 못했습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참고만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읽으시다가 이해가 안되는 점이 있다면, 댓글로 질문해주세요 :) 기본 전제 [ 코스피 관련 ] - 한국의 코스피에서 외국인 투자자의 자금 비중은 평균 36.64%로, 큰.. 12월 FOMC 그리고 엇갈리는 중앙은행들 Global Macro Research 2021년 12월 25일 "12월 FOMC: 1) 물가상승과 테이퍼링 / 2) 매파적 점도표" 1) 현재 금융시장의 최대 관심사는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이다. 연준은 이번 FOMC를 통해 물가 상승을 잡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였다. COVID-19 및 경제 재개로 수요공급 불균형이 지속돼 인플레이션 수준을 높이고 있기 때문에 테이퍼링 속도를 지금의 2배로 높이겠다는 입장이다. 이번 회의에서 기준금리는 동결(0~0.25%)되었으나 테이퍼링 규모는 기존 150억 달러에서 300억 달러로 2배 확대됐다. 22년 1월부터 매달 국채는 200억 달러, MBS(주택저당증권)는 100억 달러씩 매입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속도라면 연준의 자산매입은 내년 6월말이 아닌 3월말에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