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수(INDEX) 관련 용어 알아보기
<US Stock Market>
1. 뉴욕증권거래소 (NYSE / New York Stock Exchange)
2. 나스닥 (NASDAQ / 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
3. 아메리카증권거래소 (AMEX / American Stock Exchange)
<US Stock Index>
1.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 다우존스(사)가 우량기업 주식 30개 종목을 표본으로 시장가격을 평균하여 산출하는 주가 지수
2-1. 나스닥 종합주가지수 (NASDAQ Composite Index)
• 나스닥에 상장된 전분야 모든 기업의 주가 지수
2-2. 나스닥 100 (NASDAQ 100)
• 나스닥에 상장된 기업 중 100개의 우량기업만을 별도로 모아 만든 주가 지수
3. S&P 500 (Standard & Poor's 500 Index)
• 스탠더드 앤 푸어스(사)가 선정한 우량 기업 500개 종목을 기준으로 한 지수
4. 러셀 지수 (Russell Index)
• 종류: 러셀 1000 / 러셀 2000 / 러셀 2500 / 러셀 3000
• Russell Investments가 만든 지수 (6월마다 연 1회 리밸런싱 시행)
• 대부분의 경우 러셀 2000 지수를 사용 (경기 민감도가 높기 때문에 경기 파악에 활용)
• 러셀 2000의 가격이 상승했다
= 투자자들이 중소형주의 리스크를 감내하고 투자할 만큼 경기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 러셀 2000의 가격이 하락했다
= 투자금이 대형주와 안전자산으로 몰렸고 투자자들이 경기에 대해 나쁜 전망을 갖고 있다
• 참고로 러셀 1000은 S&P 500으로 대체가능
• 러셀 3000은 나스닥 지수 또는 Total Stock Market ETF로 대체가능
<그 외 지수>
1. MSCI 지수 (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Index)
• 모건스탠리증권이 1986년에 인수한 캐피털인터내셔널사에서 작성하여 발표하는 세계적 지수이자 FTSE지수와 함께 국제금융 펀드의 투자 기준이 되는 대표적인 지표
• 최초의 국제 Benchmark(기준점)로 특히 미국계 펀드의 95%정도가 이 지수를 기준으로 삼을 만큼 펀드 운용에 주요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지수
• 글로벌지수, 지역지수 등 국가, 산업 및 펀드스타일에 따라 100여 가지의 다양한 지수들을 제시
• MSCI는 크게 선진국지수(MSCI ACWI : All Country World Index Free)와 신흥시장지수(MSCI EMF : Emerging Market Free Index), 프런티어시장(Frontier Market)으로 구분
• MSCI지수의 산출기준은 시가총액 방식이 아닌 유동주식(free floating) 방식
• 시가총액 방식은 정부 보유지분이나 계열사 간 상호 보유 지분 등 시장에서 유통되지 않는 주식까지 합산해 실제 공개시장에 대한 영향력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이 단점
• 이에 비해 유동주식 방식은 정부 보유 및 계열사 보유 지분 등 시장에서 유통되기 어려운 주식을 제외한 실제 유동주식을 기준으로 비중을 계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