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터디/상식정리

용어정리

안녕하세요, 은세라입니다.

사회초년생 경제공부를 시작하기 위한 첫 글로 용어정리 게시글로 시작하겠습니다.

 

* 본 포스팅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를 할 예정이며, 공부하면서 자주 찾아보게 되는 용어들을 정리하는 곳입니다.


시장

GDP (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은 일정 기간 동안 한 국가에서 생산된 재화와 용역의 시장 가치를 합한 것을 의미하며 보통 1년을 기준으로 측정한다. 주식시장에서는 주로 실물경제의 흐름을 보는 지표나 각 국가의 시장 크기를 보는 지표로 사용된다.

금리

사전적 의미는 돈을 빌렸을 때 지불해야하는 원금에 대한 이자 비율이다. 금리에는 기준금리와 변동금리가 있는데, 변동금리란 시장금리를 반영하여 일정 주기 별로 약정금리가 변하는 금리를 의미하며 고정금리란 최초 약정한 금리가 만기때까지 그대로 유지되는 금리를 의미한다.

주식시장에서 최근 주로 언급된 금리는 한국은행이 지정하는 기준금리이다. 기준금리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결정하는 정책금리이다. 기준금리는 경제 흐름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기때문에, 금리를 통해 현재 경기가 과열 되었는지, 통화량이 적은지 많은지 대략적으로 알 수 있다.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대출이 쉬워져 시장에 흐르는 현금의 양이 많아지고 경기가 되살아난다. 그 반면,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시장에 풀린 돈의 양이 줄어들고 과열된 경기를 식히는 효과가 있다.

채권

정부,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이 비교적 장기로 불특정 다수로부터 거액의 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정해진 이자와 원금의 지급을 약속하면서 발행하는 증권을 말한다. 특히 주식회사에서도 자금 조달을 위한 회사채를 발행하는데, 주식과 반대로 비교적 안전자산으로 분류된다.

국채

정부에서 발행한 채권을 말한다.

연준

연방준비제도의 약자로, 미국의 중앙 은행이다. Fed라고도 한다. 미국 달러를 발행하는 곳이다. 달러가 전세계 기축통화로 쓰이는 만큼 연준의 결정은 전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

테이퍼링

“점점 가늘어지다”라는 뜻으로 정부가 경제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시행했던 정책을 줄이면서, 줄일 때의 그 영향이 경제에 미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점진적으로 줄이는 전략을 말한다.

코로나19 때, 전세계적인 주가폭락과 경제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각 정부는 양적 완화의 일환으로 막대한 양의 현금을 시장에 내보냈다. 현재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시장이 안정화되고 적극적인 경제부양책은 줄어들게 되었는데, 이때 정책이 변경되는 시점에 시장에 발생할 영향을 줄이는 것이 테이퍼링이다.

경상수지

국가가 재화와 서비스를 외국과 거래한 결과로 나타나는 수입과 지출의 차액


분석

시총 (시가총액)

재무제표

기업의 재무상태를 보여주는 문서이다. 회사에 대한 종목분석 시 가장 기본적으로 참고하는 문서이다. 기본적인 재무제표로는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가 있다.

PER (Price Earnings Ratio)

주가수익률. 주가를 1주당 순이익 (EPS)으로 나눈 값이다. 일반적으로 PER가 낮으면 이익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된 종목으로, 높으면 고평가된 종목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가치평가 시에는 PER가 낮은 기업을 주로 찾는다.

PBR (Price-to-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 주가가 1주당 순자산의 몇 배로 매매되고 있는가를 표시한다.

주가는 그 회사의 종합적인 평가이므로 주주 소유분을 초과한 부분은 모두 그 회사의 잠재적인 프리미엄이 되기 때문에 경영의 종합력이 뛰어나면 뛰어날수록 배율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지표는 PER과 함께 사용되는데, 이는 주가순자산배율이 그 회사를 정적인 상태 즉 스토크(stock)면에서 보고 있는데 반하여 주가수익률은 동적인 상태 즉 플로(flow)면에서 보고 있으므로 두 가지 지표가 서로 보완관계에 있다.

ROE (Return On Equity)

기업이 자본을 이용하여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낸다. ROE는 높을수록 좋은 회사라 볼 수 있으며, 최소한 시중금리보다 높아야 투자가치가 있는 회사라고 볼 수 있다.

ROA (Return On Assets)

총자산이익률. 기업이 가진 총 자산 대비 수익률. 기업의 일정기간 순이익을 자산총액으로 나누어 계산하는 수치를 말한다.

호가

기본적으로 호가의 뜻은 매수/매도의 의사를 표현하는 행위이다.

투자자가 주식을 팔 때(매도) 부르는 가격을 매도 호가라 하고, 주식을 살 때(매수) 부르는 가격을 매수 호가라 한다. 일반적으로 매도 호가는 낮을수록, 매수 호가는 높을수록 거래가 체결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부동산

공시지가

대한민국의 국토교통부가 토지의 가격을 조사, 감정을 해 공시하는 제도이다. 공시지가는 재개발 혹은 신도시 계획 시 토지 매입을 위한 기준이 되기도 하며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등 세금을 매기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위키백과:대문

https://www.bok.or.kr/portal/main/main.do